□ 개요 o 마이크로소프트사(MS)는 윈도우 쉘(Shell)의 .lnk 취약점[1,2]을 발표 o 윈도우 쉘이 특수하게 조작된 바로가기(lnk) 파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존재함 o 현재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고 MS 윈도우의 국내 이용자 비율이 높음으로 이용자 주의 필요
□ 설명 o MS 윈도우의 쉘(Shell)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발표 - 윈도우 이용자가 특수하게 처리된 윈도우 바로가기 파일(lnk)을 클릭할 경우 공격자가 의도한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음 - 해당 취약점은 USB 등의 이동식 저장매체에서도 동작하기 때문에 이동식 저장매체를 통한 전파에 유의 - 현재 MS에서 지원하는 공식 보안 업데이트는 발표되지 않음
□ 영향을 받는 시스템 o 모든 윈도우 버전
□ 임시 조치 방법 o 다음 URL의 조치방법(Workaround)에 따라 조치 ※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advisory/2286198.mspx ※ 주의: 본 조치 방법을 취할 경우 바로가기 아이콘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으며 Webclient 서비스와 관련된 기능을 사용할 수 없음
□ 용어 정리 o 바로가기: 자주 사용하는 문서나 프로그램을 가장 편리한 장소에서 빠르게 사용하기 위해 바탕화면 등에 설치하는 작은 아이콘 o Webclinet 서비스: HTTP의 확장 프로토콜인 WebDAV(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)을 이용하여 웹서버의 파일을 접근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
□ 참고사이트 [1]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advisory/2286198.mspx [2] http://www.kb.cert.org/vuls/id/940193
|
|
|